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가상화폐

1.20.~21. 비트코인 롤러코스터 장세. 하락의 원인과 향후 전망

by 채율성 2022. 1. 21.

 

한국시간으로 어젯밤에는 미국의 실업수당 청수 건수 지표가 발표되는 날이었다. 이전에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경제가 좋기 때문에 더 이상 연준에서 해줄 것이 없으니 이제 금리인상을 하겠다"라고 말을 했었다. 이 발언의 의미는 이제 경제가 좋기 때문에 연준에서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타당하다는 취지였던 것이다. 하지만 어제 실업청구수당 건수는 높게 나왔다. 한국시간으로 1월 20일 밤 10시 30분에 지표가 발표가 되었고 실업청구수당은 지난주 대비  20.25포인트나 높게 발표되었다.

실업수당청구건수가 231K로 발표되었다.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증가하였다는 말은 현재 미국에서 실업자 수가 증가했다는 의미이며, 결론적으로 미국의 경제가 좋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하면 바이든 대통령이 말한 것과 상반되는 내용이라는 말인데, 바이든 대통령은 경제가 좋기 때문에 금리 인상이 타당하다고 연설을 하였지만 막상 지표를 보니 경제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 경제가 좋지 않으면 당장 다음 주 미 FOMC에서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시장에 작용한 것이다. 또한 과거 사례를 보면 경제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에서 양적완화나 경기부양책 등을 실시했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가격이 올랐었다. 그러한 기대심리가 반영되듯 어제도 마찬가지로 지표 발표 이후에 비트코인과 나스닥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나스닥 장 마감전에 갑자기 급락이 나타났고 비트코인도 역시 오늘 새벽 6시부터 급락을 했다. 그 원인으로 보자면 현재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을 올해 할 거라는 생각은 하고 있었고 다음 주에 있을 FOMC에서 금리인상을 하지 않더라도 현재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고, 그렇다고 지난번처럼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위해 양적 완화라던지 경기부양책을 실시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여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음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그렇게 결국 비트코인은 40K가 뚫리게 되었고 현재 38K~39K 구간을 횡보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제도 말했듯이 지금 시장은 약세장은 맞다. 이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몇가지 지표를 보면 아직 비트코인은 한 번의 상승이 남아있을 것이고 이후 시작되는 약세장도 그 기간이 길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 세계적으로 가상화폐 시장은 대중화가 이미 시작되고 있다. 지금 비트코인을 비롯한 많은 가상화폐들이 가격은 하락하고 있을지라도 사용 활성도 부분에서 대중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활성도와 관련한 기술발전으로 가격 상승을 이끌어낼 것이다.

다음은 가상화폐들의 대중화가 일어나고 있는 몇가지 증거들이다. 원래 가격이 하락하고 있을 때에는 수많은 호재들이 빛을 보지 못하는 법이다.

 

1. 미국 주식거래 로빈 후드 암호화폐 지갑 베타 버전 출시

 

 

2.FTX 거래서 , 전세계 사용 가능 암호화폐 VISA 카드 공개

 

 

3.미 뉴욕시장, 비트코인-이더리움으로 첫 월급 받는다.

 

 

4.트위터, NFT를 프로필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능 제공

 

 

5.인스타그램·페이스북 프로필에 NFT 연동을 실험하는 메타(페이스북)

 

 

6.비트코인 고래들(1,000 BTC 이상), 42,000 달러를 넘어서기 전에 40,000 BTC를 추가로 구매

 

 

7.월마트, 메타버스 진출… 암호화폐·NFT도 발행

 

세계적인 기업들은 매번 지금과 같은 약세장일 때 호재들을 발표하고 상승장 일 때는 본인들이 개발하고 있는 것들을 부인한다. 이런 기업들의 기술개발과 체제의 전환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누구도 모르게 조용히 개발에 몰두하고 대중들이 모르는 사이에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단순히 가격이 하락한다고 해서 불안해하거나 이 시장을 떠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분명 쉽게 돈을 벌려고 하는 '탐욕' 때문일 것이다. 아니면 여윳돈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일 내에 써야 되는 돈이었거나 이 시장에 대한 확신 없이 그저 주위에서 쉽게 돈을 벌었다는 소문을 듣고 들어온 것이리라 생각된다. 우리가 접하는 그런 소식들은 10000명 중에 1명 있을까 말까 한 소식이다. 그 대상이 내가 될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쉽게 돈을 벌려는 생각은 버리고 시대의 흐름을 읽고 그저 지금 같은 시기에는 설레는 마음으로 조금씩 매집을 하면 된다. 이런 기회도 이제 향후 1~2년이면 끝이 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 모두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말고 본인의 그릇만큼 투자하고 수익을 내서 원하는 목표를 이루길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