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웹 3.0. 관련 '익명성 코인' 중 지캐시(ZEC)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번에 말했던 웹 3.0. 관련 코인 중 '익명성 코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지캐시(ZEC)'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1. 개념 지캐시는 익명성을 강조한 코인이다. 또한 추적이 불가능한 성질을 갖는 분산 암호화폐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불법 자금 조달 등에 쓰일 위험이 있어 국내 거래소에서는 작년에 전부 상폐(거래중지)를 했다. 2013년에 처음 공개될 당시에는 '제로코인'이라는 이름이었지만 개발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지캐시가 되었으며, 지코인(XZC)과는 다른 코인이니 혼돈하지 않길 바란다. 2. 주요 특징 영지식(Zero knowledge) 증명을 통해 익명성을 구현한다. 영지식 증명이란 정보를 공유하지는 못하지만 자신이 그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할 때 쓰.. 2021. 12. 25.
(가상화폐) 비트코인 지금이 매수기회인가? 여러 지표를 통한 상황 분석 오늘 새벽 비트코인이 51K까지 찍으며 연말 동네 불꽃축제정도를 기대할 수 있게 만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은 더 빠질 것이다, 아직 바닥이 없다, 40K까지 갈 것이다 등등 많은 말들이 있다. 내가 보는 몇가지 지표를 통해 비트코인이 어떤 상황인지 간략히 알아보려고 한다. 단, 비트코인에 해당되는 내용이니 기타 알트코인들에 대해서 적용하지 않길 바란다. 1. UTXO 차트와 지지/저항 레벨 차트 물량이 많은 '고래'들의 매수와 개인지갑으로 송금했을 경우 고래들의 평단가로 계산한 차트이다. 지지/저항 레벨 차트를 보면 55K ~ 49K, 46K ~ 40K 구간이 비어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그곳들이 바로 지지와 저항대가 없는 구간, 즉 패닉셀이 나올수 있는 구간이란 뜻이다. 몇주전 대하락 당시 57.. 2021. 12. 24.
(가상화폐) 네이버에서 발행한 라인링크(LN) 코인은 무엇이며, 거래소 및 스테이킹 가능 거래소 소개, 향후 전망 알아보자. 대한민국에서 글로벌 기업으로 갈 수 있는 기업을 말하자면 단연 카카오와 네이버이다. 그리고 이 두 기업은 각각 클레이튼(klay)과 라인링크(LN) 코인을 발행하였다. 오늘 이시간에는 라인링크(LN) 코인은 무엇이며, 거래가능한 거래소, 스테이킹 하기,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라인링크 코인은 네이버에서 발행한 코인이다. 네이버가 어떤 기업인지 간단히 설명하자면, 클라우드, 로봇, AI, 빅데이터, 금융, 쇼핑, 그리고 최근엔 메타버스(제페토)까지 영역을 확대해가는 명실상부한 초기업의 반열을 넘보고 있는 기업이다. 그러한 기업에서 발행한 라인링크(LN) 코인이니 망하지 않을것이고 특히 네이버에서 운용중인 메타버스(제페토)에서 사용가능한 코인이니 NFT와도 연관된 코인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라인.. 2021. 12. 23.
(투자, 경제, 가상화폐) 리플(xrp) 솔로제닉 에어드랍?? 향후 방향성? 며칠전 포스팅했던 리플(XRP)이 다가오는 25일에 솔로제닉(sologenic)을 에어드랍한다고 한다. 업비트 기준으로 솔로제닉 코인을 에어드랍받기 위해서는 24일 금요일 오후 2시 이전까지 리플을 업비트에 입금해두어야 한다. (24일 오후 2시부터 에어드랍 종료시까지 입출금이 중단되므로 미리 입금해두길 추천한다.) 그렇다면 솔로제닉은 무엇일까? 솔로제닉은 리플 생태계에서 NFT와 같은 거래에 사용되는 코인으로 총 발행량은 4억개이며, 이번 스냅샷을 통해 2억개를 에어드랍한다고 한다. (XRP 홀더 대상 : 1억개, 솔로제닉 홀더 대상 : 1억개) 현재 국내거래소에서 해당 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는 없으며 해외거래소는 비트루 거래소가 있다. 코인마켓캡에 있는 솔로제닉의 가격과 시총을 알아보자. 시총.. 2021. 12. 22.
(투자, 경제, 가상화폐) 2021년은 NFT와 메타버스가 대세였다. 2022년은 웹 3.0이 대세가 될 것이다. 웹 3.0의 개념과 관련 가상화폐 정리 올 한해 가장 뜨겁게 달군 트렌드라면 단연 NFT와 메타버스이다. 대부분 정확한 개념은 모르지만 한번쯤은 들어봤을법한 위의 두 단어. 단적인 예로, '엑시인피니티'라는 코인이 있었는데 6월중순만 해도 4천원이었던 것이 불과 4개월만에 20만원까지, 무려 50배나 오른 것이다. 이 코인이 오른 이유는 바로 메타버스에서 이뤄지는 게임으로 돈을 번다, 즉 P2E(Play to Earn)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동남아에서 출시된 이 게임으로 실제로 현지에서는 이 게임만 해도 월 150만원의 수익을 올리기도 했고 코인이 현실세계의 돈으로 전환되는 사례로 각인되며 이러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각설하고 오늘의 주제에 대해 말해보자. 그렇다면 다가오는 2022년에는 올해 있었던 NFT와 메타버스와 같이 '떡상'할 트렌.. 2021. 12. 22.
(가상화폐) 리플(xrp) 스테이킹 : 넥소를 이용한 방법 요즘 가상화폐 이자를 받는 낙으로 하루하루 보내고 있다. 비록 시세는 지지부진하지만 지금 시기에는 가격에 연연하기 보다는 갯수에 집중하자는 생각으로 마인드컨트롤을 하고 있다. 오늘은 넥소 지갑을 이용한 리플(xrp) 스테이킹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현재 스테이킹 이율은 넥소 지갑에 리플을 입금 후 보관만 하면 4%, 1개월씩 고정할 경우에는 5%의 이율이다. 우선 스테이킹이 무엇인지 개념부터 간단히 말하자면, PoS 합의 알고리즘 기반으로 모든 블록체인에서 블록을 형성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일반화된 개념이다. 다시말해 리플을 보유한 사람은 블록을 생성, 서명 및 검증하고 지분에 비례하는 보상을 받는 것을 의미하며 간단히 말해 이자를 받는거라고 생각하면 쉽다. (번외로 송버드 토큰은 위임을 해서 보상을 .. 2021.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