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실상부 글로벌 1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NFLX)가 지난 22일, 주가가 21.79%나 폭락하며 397.5달러로 장을 마감하였다. 이 후 시간외 거래에서도 20%가 넘게 폭락을 하였다. 혹자는 지금이 바닥이라고 매수의 기회라고 하고 또다른 사람들은 과대평가가 되었고 이제 거품이 빠지는 시기이니 조금 더 관망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최근에 넷플릭스가 그렇게 많이 폭락한 원인과 향후 넷플릭스 주가의 전망은 어떻게 될지 알아보자.
1. 하락원인
- 첫 번째 원인으로는 수익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는 점이다. 넷플릭스의 작년 4분기 주당 순이익은 1.33달러, 매출액은 77억 1000만 달러이다. 단순 실적만으로 본다면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었다. 또한 4분기 신규 가입자는 828만명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수치는 월가에서 추정한 839만명을 하회하는 수치였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코로나19 장기화로 많은 기업들이 OTT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디즈니와 HBO 등이 있다. 따라서 한정된 시장의 파이를 여러 기업들과 경쟁해야하는 체제에 돌입하게 되는데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넷플릭스는 올해 1분기 신규 가입자를 250만명으로 전망했는데 이 수치는 작년 1분기 398만명을 크게 밑도는 수치이다. 또한 넷플릭스에서 전망한 수치는 월가에서 예상한 590만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수준인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종합되어 결론적으로 넷플릭스 주가는 폭락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 두 번째 원인으로는 요금제의 인상이다. 현재 넷플릭스는 앞서 말한 신규 가입자 증가폭의 둔화를 가격을 상승함으로써 수익과 손실의 차이를 상쇄하려는 전략을 내세웠다. 최근 넷플릭스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두 번째 요금 인상을 시행했는데 베이직 요금제는 8.99달러에서 9.99달러로, 스탠다드 요금제는 13.99달러에서 15.49달러로, 프리미엄 요금제는 17.99달러에서 19.99달러로 인상을 했다. 또한 국내에서도 요금 인상을 최근에 실시하였다. 베이직 요금제는 기존과 동일한 9500원이지만 스탠다드 요금제는 12000원에서 13500원, 프리미엄 요금제는 14500원에서 17000원으로 각각 12.5%, 17.2% 상승하였다. 이는 최고가 요금제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국내 OTT 기업인 티빙이나 웨이브보다 3000원 이상 비싸다는 것인데 문제는 요금제가 인상한만큼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냐라는 의문이 든다는 점이다. 물론 최근에는 <오징어게임>, <D.P>, <지옥> 등 전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콘텐츠가 출시되었지만 앞으로도 이와 같은 콘텐츠가 대중들을 만족시켜줄 수 있냐는 점이다. 사람들의 눈은 이미 높아졌고 그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에 대해 대중들에게 믿음을 주어야 한다.
2. 넷플릭스 주가 전망
그렇다면 지금 넷플릭스 주가는 어떤 상황일까? 차트를 보며 간단히 살펴보자.
일봉 차트만을 본다면 이미 떨어질때로 떨어졌음을 볼 수 있다. 대략적으로 400달러 부근이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이번에도 살짝 이탈을 했지만 거래량을 동반한 하락이므로 당분간 기술적 반등을 동반한 매수세가 붙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장기 투자를 목적으로 접근을 한다면 지금이 어떤 시점일지 월봉 차트를 한번 확인해보자.
월봉차트를 보더라도 400달러 부근이 지지선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금이 매수할 시기일까? 현재 전 세계 넷플릭스 가입자 수는 2억 2200만명이다. 지금 디즈니와 홀루, ESPN+,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2위에서 4위까지의 가입자 수를 합해도 1억7900만명이다. 압도적인 수치이다. 월트디즈니에서 2023 회계연도까지 디즈니를 가입한 국가의 수를 지금보다 2배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그때까지 넷플릭스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다. 지금 사회는 끊임없는 경쟁사회이다. 경쟁이 있기 때문에 더욱 더 발전하고 사용자들도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앞으로 넷플릭스 주가 전망은 그리 어둡지 않으리라 예상된다. 단,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 하에 해야 하는 것이며 사전에 충분한 공부를 하고 확신을 가진 뒤 투자를 하기 바란다.
'투자경제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증권 해외주식 주간 거래 14일째, 매수 상위 종목을 알고 계시나요? (0) | 2022.02.21 |
---|---|
미국의 금리인상 직전에 매수하기 좋은 종목 분석(ft. 에너지 관련주) (0) | 2022.02.12 |
모두가 사랑하는 해외 주식 1위, 애플(AAPL)의 주가 전망 분석 (0) | 2022.02.08 |
세계 최초 미국주식 주간거래 가능, 삼성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 (2) | 2022.02.06 |
구글 모기업 알파벳, 20분의 1로 액면분할한다!! 지금 매수해야하는가? (0) | 2022.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