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국내주식

2022년 하반기 대어 케이뱅크 공모주 청약에 대해 알아보자!

by 채율성 2022. 2. 9.

가상화폐 투자를 위해 업비트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알고 있는 케이뱅크. KT의 금융자회사이기도 한 케이뱅크는 작년 2021년 첫 흑자 전환에 성공한 후 원래 계획이었던 2023년도 IPO 계획을 1년 앞당겨 올해 하반기에 IPO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긴 하지만 카카오뱅크가 IPO를 성공적으로 치렀다는 결과에 이어 올해는 인터넷 은행 2인자인 케이뱅크가 IPO를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과연 케이뱅크의 IPO는 어떤 결과가 있을지 궁금해지는데 오늘은 케이뱅크의 IPO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케이뱅크 실적

케이뱅크 실적
케이뱅크 실적 변화

2017년 4월 출범 후 연간 적자를 면치 못하다가 작년 가상화폐 대란이 불었을 당시 최초 흑자 전환에 성공을 한 케이뱅크는 지난해 잠정 22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2020년 당시 무려 1054억의 적자를 냈던 점을 감안한다면 엄청난 이익을 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작년 고객 증가 수는 작년 초 219만 명에서 717만 명까지 무려 500만 명이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예금 잔액 또한 3조 7500억 원에서 11조 3200억 원으로 증가하였고 연간 순이자이익은 1980억 원으로 2020년의 464억 대비 327%나 상승하였습니다.

 

2. 케이뱅크 IPO 분석

1) 대표 주관사로는 NH투자증권, 씨티증권, JP모건이 선정되었고 공동주관사로는 삼성증권이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지난 1월 19일 기업공개 추진 결정과 동시에 상장 주관사를 선정했다는 것은 빠른 상장을 목표로 하고 그만큼 자신 있다는 뜻으로 보입니다.현재 케이뱅크는 지난해 유상증자에 참여한 재무적 투자자들에게 동반 매각 청구권을 부여했기 때문에 IPO를 2023년까지는 반드시 성사시켜야 하는 부담감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2) 예상 주가

예상 주가를 예측하기 위해서 현재 상장된 카카오뱅크와 비교를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준은 2021년 4분기 기준으로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비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비교

2021년 8월 인터넷 은행 최초로 상장을 한 카카오뱅크는 IPO 당시 PBR(주가순자산비율)이 7.3을 적용받았습니다. PBR이란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 기준의 하나로 일반 은행의 경우 PBR이 1을 넘지 않는 것을 본다면 상당히 큰 수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 뱅크의 상장 당시의 고객 수는 1650만 명이었으며 시가총액은 10조 원 수준이었고 공모가는 39,000원이었습니다.
현재 케이뱅크는 장외 시장에서 8조 원 수준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PBR은 카카오뱅크의 IPO 당시보다는 다소 낮은 5~6 수준을 유지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현재 고객 수 및 향후 미래 가치를 고려해본다면 공모가는 2만 원 중반의 가격대로 형성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봅니다.

 

 

3. 총 평

최근 IPO 했던 LG에너지솔루션의 성적이 좋았으나 이후에 이어지는 현대엔지니어링의 상징 철회, 현재 상장된 카카오뱅크의 주가 부진 등이 위험요소이긴 합니다. 또한 가상화폐 시세 역시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어 케이뱅크의 예금 잔액이 줄고 있다고 하는데요, 관건은 케이뱅크가 상장하는 시점의 경제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빠르면 올해 하반기에 IPO 예정인데 이 시기쯤 경기도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이고 가상화폐의 시세도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면 케이뱅크에 대한 평가는 더 좋을 수 있겠습니다. 나중에 좀 더 최신 정보가 나오면 내용을 작성해보겠습니다.

댓글